티끌모아 로키산맥 🏔
search
![](https://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manage/images/r3/default_L.png)
로ᄏl
배움에 끝은 없다... 개발 또한 그러하다.
Today
Yesterday
배워서 바로 쓰는 14가지 AWS 구축 패턴 - 한빛미디어
한빛미디어 서평단 두 번째 서적이다! 이번에는 저번과는 달리 관심이 있었던 AWS 구축에 관련된 책이었다. 평소 관심이 있어서 그런지 색상부터 매우 영롱하게 느껴진다.
책의 구성은 총 6파트로 나뉘고 제목처럼 14가지의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전에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책을 따라하면서 AWS를 처음 다루게 되었고, 간단하게 EC2, RDS, S3 정도의 인스턴스를 사용했었다. 솔직하게 사용 방법이라던지 각 기능에 대한 깊은 이해보다는, 아~ 이런식으로 AWS를 사용해서 Server를 구축할 수 있구나? 라는 경험을 하였었다.
이번 '배워서 바로 쓰는 14가지 AWS 구축 패턴' 책을 통해서 더 AWS에서 써봤던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알 수 있고, 또 그 기능을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 수 있지 않을까? 라는 호기심을 가지면서 보게되었다. (곧 책을 읽으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게 되었다)
먼저 이 책은 나와 같이 AWS를 잘 모르는 개발자에게는 다소 이해, 실습 면에서 어려울 것이라 생각이 든다. 이 책의 취지는 (AWS를 사용하는..)시스템 구축의 패턴을 익히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여러 비즈니스 전개상황들을 가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AWS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제시하는 책이다. A to Z로 하나 하나 Step을 밝아 나가면서 실습까지 완료하는 책이 아니다.(물론 이론적으로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step by step이기에 AWS의 기능들을 사용하는 방법에 능숙하다면 이 책이 정.말.로 도움이 될 것이다)
아직 개발 실무를 제대로 접해보지 않은 신입(지망) 개발자라 잘 모르지만 이 14가지 패턴에 적용되지 않는 예외적인 케이스가 있을까 싶다(표현이 다소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 외에 다른 패턴이 없지 않을까? 하는 조심 스러운 추측이다). 당장 회사에서 시스템 구축을 해야하는 상황에 있다면
P.S ) 꼭 AWS 기능들을 모르더라도 시스템을 구축 과정(패턴마다 비슷하면서도 다르지만...)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다보니 왜 진행되는 지에 대해서는 그 인과관계를 알아가는 좋은 경험이었다.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 2 - 한빛미디어 (0) | 2020.05.30 |
---|---|
처음 배우는 플러터 - 한빛미디어 (0) | 2020.04.30 |
테스트 주도 개발(켄트백) - 3부. 테스트 주도 개발의 패턴(1) (0) | 2020.04.11 |
마이크로서비스 패턴 - 길벗 출판사 (0) | 2020.04.03 |
고객이 보이는 구글 애널리틱스 - 한빛미디어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