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란 컴퓨터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A와 컴퓨터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컴퓨터 B와 컴퓨터 C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컴퓨터 A와 컴퓨터 C도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A, B, C는 모두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의 개수 n, 연결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comput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네트워크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시오.
제한사항
컴퓨터의 개수 n은 1 이상 2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각 컴퓨터는 0부터n-1인 정수로 표현합니다.
i번 컴퓨터와 j번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으면 computers [i][j]를 1로 표현합니다.
computer [i][i]는 항상 1입니다.
풀이 방법: 깊이 우선 탐색 (DFS) 기법을 이용한 풀이
public class Solution {
static boolean[][] link;
public void dfs(int[][] computers, int idx, int n) {
for (int i = 0; i < n; i++) {
if (computers[idx][i] == 1 && !link[idx][i]) { //연결되어있고 + 방문한적 없다면!
link[idx][i] = link[i][idx] = true; //방문한 곳들은 link 원소를 1로 변경한다.
dfs(computers, i, n);
}
}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computers) {
int answer = 0;
link = new boolean[n][n]; // 초기값은 모두 false로 자동으로 설정된다.
for (int i = 0; i < n; i++) {
if (!link[i][i]) {
dfs(computers, i, n);
answer++;
}
}
return answer;
}
}
boolean [][] link를 computers 이차원 배열과 같은 크기로 선언하여(각 원소는 자동으로 'false'로 지정된다) dfs 함수를 돌 때, 방문 유무를 저장하여서 if문 조건으로 활용하여 중복 방문을 피한다. (이 아이디어가 핵심이다) 그 외에는 전형적인 DFS의 예제라고 볼 수 있다. 재귀 함수를 이용한 풀이로 문제를 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