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indicator done

개발서적 (54)

  1. 테스트 주도 개발(켄트백) - 3부. 테스트 주도 개발의 패턴(1) 2020.04.11

    25장. 테스트 주도 개발 패턴 우선 기본적인 전략에 관한 질문에 답해야 한다. 테스트한다는 것을 무엇을 뜻하는가? 테스트를 언제 해야 하는가? 테스트할 로직을 어떻게 고를 것인가? 테스트할 데이터를 어떻게 고를 것인가? (위에 처럼 글로 정리를 안해서 그렇지 위와 같은 문제점에 혼자서 답을 얻기 힘들었기 때문에 이 책을 읽고있는게 아닌가 하다) | 테스트(명사) | 자동화된 테스트를 만들어라! 테스트하다(test)는 '평가하다'라는 뜻의 동사다. 그 어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도, 아무리 작은 변화라도 테스트하지 않고 릴리즈하지는 않는다. 변화를 테스트할 수 있다고 해도, 실제로 변화를 테스트하는 것은 '테스트를 갖고 있다'는 것과는 같지 않다. | 격리된 테스트 | 테스트를 실행하는 것이 어떤 식으로 영..

  2. 마이크로서비스 패턴 - 길벗 출판사 2020.04.03

    최근 면접본 회사는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식 개발을 한다고 하였고, 더 최근에 기술과제를 수행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는데, 디자인 패턴에 대한 공부를 병행하는 것을 추천받았다. 때마침 길벗 출판사에서 "마이크로서비스 패턴"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또한 서평단을 모집한다는 소식에 망설이지않고 바로 지원했다. 결과는 .... (두둥) 집에 책이 도착했다. 신나는 마음으로 열어보았다. 처음에는 책 내용을 정리해서 같이 적을까 하다가. 적어둔 내용이 (절반정도 적었었는데... ㅠ) 싹 날아가버려서 ... 도저히 다시 그정도의 요약을 하기는 힘들 것 같다. 아뿔사... 대상 독자를 보니 CTO, 기술 부사장, 아키텍트, 개발자 등을 얘기하고있다. '개발자'라고 포괄적인 범위 ..

  3. Chap 4, 5, 6 - 스트림 소개, 활용, 데이터 수집 2020.03.29

    스터디를 통해서 '모던 자바'에 대한 공부를 했었다. 하지만 배울 때는 분명 다 내것이 되었다고 생각했었는데, 막상 기억에 남는게 별로 없는 것 같다. 역시 복습은 선택이아닌 필수가 아닌가 한다. (=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다) 당장 내일 응시해야하는 코딩테스트가 하나 있어서, 급하게 스트림의 활용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보자 한다. 이론적인 부분은 시간을 잡아서 제대로 정리하려고 한다(스트림 뿐만 아니라 모던 자바 인 액션 책 전체적으로 정리를 하려고 한다). 스트림(Stream)은 자바 8에서 추가된 기능이고, 스트림을 이용하면 선언형(SQL의 쿼리와 같이 질의로 표현할 수 있다)으로 컬렉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림을 이용하면 멀티스레드 코드를 구현하지 않아도 데이터를 투명하게 병렬..

  4. 고객이 보이는 구글 애널리틱스 - 한빛미디어 2020.03.27

    현재 한빛 미디어의 서평단으로 활동 중이다. 3월의 랜덤 서적으로 '고객이 보이는 구글 애널리틱스' 책을 받았다. 사실 선택한 3개 중에서 가장 안왔으면 했던 책이다. (어떻게... 귀신같이) 그래도 최근에 면접을 봤던 회사(결과가 궁금한 사람이 있을까봐 TMI하게 말하자면 떨어졌다...ㅠ)에서 '구글 애널리틱스'를 이용해서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었다. 이번 기회에 한번 읽으면서 구글 애널리틱스의 이점과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읽었고 서평을 작성한다. 먼저 각 챕터의 구성을 나열해본다. 먼저 실습을 하기 직전 기초적인 웹로그의 개념과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함으로써의 장점, 그리고 각 포지션(기획자, 마케터 ..etc)이 웹로그를 분석해야하는 이유..

  5. 아이템1.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2020.01.14

    클라이언트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얻는 전통적인 수단은 public 생성자다. 하지만 클래스는 생성자와 별도로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제공할 수 있다.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단순한 정적 메서드를 말하는게 맞다!) 다음 코드는 boolean 기본 타입의 박싱 클래스인 Boolean에서 발췌한 간단한 예다. public static Boolean valueOf(boolean b) { return b ? Boolean.TRUE : Boolean.FALSE; } 클래스는 클라이언트에 public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제공할 수 있다고 했다. (같이 제공할수도 있다) 이 방식에는 장점, 단점이 모두 존재한다. 먼저 장점 다섯 가지에 대해 알아본다. 장점 1.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생성자에 넘기..

  6. Do it! 웹 사이트 따라 만들기 2019.12.21

    페이스북 '생활코딩' 채널 커뮤니티 페이지에서 Do it! 웹 사이트 따라 만들기 서평단을 모집한다는 글을 보고(안 그래도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프론트 엔드부분에서 막히는 부분이 많았었다, 물론 벡엔드도..) 바로 지원했다. 운이 좋게도 서평단에 발탁이 되었고, 얼마지나지 않아 책을 받아볼 수 있었다. 이전에 배운적이 있었지만, 머릿속에 그 지식이 일단 책의 시작 부분에 HTML, CSS, JS에 대한 기본 지식에 대해서 핵심만 간략하게 설명이 있다. 기본지식이 탄탄한 경우에는 과감히 건너뛰어도 될 것 같았다. (헷갈리거나 잊고 있었던 개념 확립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 최근 HTML의 정보로서의 가치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자신의 사이트가 더 많이 노출되기위해서 어떤 요소를 신경써야하는..